본문 바로가기
커피

코스타리카의 커피 특징을 알아보는 시간

by 토리맘_ 2023. 2. 2.
반응형

토리맘이 직접 찍은 커피 사진.
토리맘이 직접 찍은 커피 사진.

목차

○ 코스타리카 커피의 특징
○ 코스타리카 커피 재배
○ 코스타리카의 지역별 커피

○ 코스타리카의 커피콩 분류

 

○코스타리카 커피의 특징

코스타리카는 대서양과 태평양 사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코스타리카는 걸고 기름진 토양과 따뜻한 기후로 커피 생산 국가 중에서 면적 당 커피 생산량이 제일 높습니다. 뛰어난 커피 품질로 코스타리카의 전체 수출의 25%를 커피가 차지한다고 합니다. 코스타리카는 커피 산업에 비중을 많이 두는 편이라 학교 방학을 커피 수확기에 맞춘다고 합니다. 코스타리카는 대부분 물을 이용한 습식법으로 커피를 가공합니다. 체리 콩이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밀도가 강하여 단종으로 커피를 즐기기도 하고 블렌딩 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바디는 강한 편이며 신맛이 좋다고 합니다. 습식법은 대체로 신맛이 강한데 코스타리카의 신맛은 모카 계통의 신맛과 다르게 톡톡 쏘는 상큼한 맛으로 전체적으로 균형 잡혀 있는 느낌입니다. 

 

○코스타리카 커피 재배 

1770년대에 쿠바로부터 처음 커피가 건너왔으며, 1808년부터 커피 재배를 시작했습니다. 재배 면적은 11만 5천 ha(면적을 나타내는 단위, 평수로는 3억 4천7백 평)입니다. 코스타리카의 커피 수확 시기는 지역과 지대마다 다릅니다. 코스타리카 대서양의 커피 수확시기는 저지대가 6월에서 11월까지이며 고지대는 10월에서 1월까지입니다. 코스타리카 태평양의 커피 수확 시기는 저지대가 9월에서 12월까지, 고지대가 11월에서 3월까지입니다. 코스타리카의 커피는 오로지 아라비카 품종만 재배합니다. 왜냐하면 로부스타 품종을 재배하는 것은 코스타리카의 법으로 금지가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주로 재배하는 품종은 카투라 품종이며 그 외에도 노보 문도, 카투아이 품종이 있습니다.

 

○ 코스타리카의 지역별 커피

커피 생산 지역으로는 중앙 계곡 지역, 대서양 연안과 태평양 연안입니다만 주로 중앙 계곡 지역에서 대부분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1770년대에 쿠바로부터 처음 커피가 건너왔으며, 1808년부터 커피 재배를 시작했습니다. 코스타리카의 가장 널리 알려진 커피는 따라주(tarrazu)이며, 코스타리카의 수도 산 호세에 있는 중부 계곡에서 생산됩니다. 따라주는 콩의 크기가 작지만 향과 신맛이 좋고 전체적으로 균형 있고 깔끔한 맛이라고 합니다. 태평양 경계 쪽의 뜨레 리오스(tres Rios) 지역에서 나오는 커피를 뜨레 리오스라고 합니다. 뜨레 리오스는 단맛과 상큼한 맛을 가지고 있는 마일드한 커피라고 합니다.

 

○ 코스타리카의 커피콩 분류

코스타리카는 생산지의 고도에 따라 커피콩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고지대에서 재배한 커피콩일수록 좋은 품질로 분류하며 가장 상급인 품질을 S.H.B라고 합니다. 예) tarrazu S.H.B → 따라주 지역의 고지대에서 재배된 최상 등급의 콩

  • S.H.B (Strictly Hard Bean) : 코스타리카 북부와 남부의 1,200 ~ 1,65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40%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G.H.B (Good Hard Bean) : 코스타리카 중앙고원의 1,100 ~ 1,25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10%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H.B (Hard Bean) : 코스타리카 태평양과 중앙고원의 800 ~ 1,10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19%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M.H.B (Medium Hard Bean) : 코스타리카 대서양과 태평양의 500 ~ 1,20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14%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H.G.A (High Grown Atlantic) : 코스타리카 동부의 900 ~ 1,20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5%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M.G.A (Medium Grown Atlantic) : 코스타리카 동부의 600 ~ 90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8%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L.G.A (Low Grown Atlantic) :코스타리카 동부의 200 ~ 60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3%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 P (Pacific) : 코스타리카 서부의 400 ~ 1,000m 고도에서 생산되는 콩으로 자국 내 커피 생산량의 1%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